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K-Neurophysiologist Newsletter /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회보

메뉴 열기

Prospective open-label trial with rituximab in patients with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radiculoneuropathy not responding to conventional immune therapies

Doneddu PE, et al.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24;95:838–844

석정임
대구가톨릭대학병원 신경과


Kaplan-Meier curve on cumulative probability of improvement after treatment with rituximab.

서론

CIDP(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는 스테로이드, 혈장교환술, 면역글로불린주사로 치료를 하는 면역매개질환이다. 이러한 치료는 50-80%의 환자에서 효과가 있지만 치료를 장기간 유지해야 하고 장기간 사용에 의한 부작용의 위험도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는 면역치료에 반응을 하지 않는 환자들이 존재한다. 예비연구에서 Rituximab이 CIDP의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으나, 후향적연구이거나 치료 protocol이 일관적이지 않은 제한점이 있었다. 저자는 2가지 이상의 기존치료에 반응을 하지 않는 CIDP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공개연구(open-label trial)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1) 환자
2010 European Federation of Neurological Societies/Peripheral Nerve Society (EFNS/PNS) 진단기준에서 definite CIDP와 probable CIDP에 합당하면서 기존치료(면역글로불린주사, 고용량 스테로이드, 혈장교환술)중에 2가지 이상에서 치료효과가 없었던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2) 항체검사
Anti-nodal-paranodal 항체에 대해 ELISA검사를 시행한다. 광학밀도가 0.3 초과인 경우 양성으로 판단한다.

3) Rituximab 치료
Rituximab 1g을 day 1과 day 15에 주사한다.

4) 평가
MRC sum score, Inflammatory Neuropathy Cause and Treatment (INCAT) scale, Inflammatory-Rasch Overall Built Disability Scale (I-RODS),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questionnaire (SF-36)를 연구등록시, Rituximab 주사 전, 주사 후 2, 4, 6, 8, 10, 12개월에 시행한다. Primary endpoint는 주사 후 6개월에 MRC sum score가 2점이상, INCAT 1점이상, RODS가 4-percentile-point이상 호전되는 환자의 비율로 하였다.

결과

20명의 환자 중에 17명이 주사 후 6개월까지 평가를 완료하였고 14명이 12개월까지 평가를 완료하였다. Anti-nodal-paranodal 항체는 한 명에서 양성이었다. 6개월에 시행한 평가에서 76.5%의 환자에서 호전을 보였고(Table. Response to rituximab treatment at 6 months), 12개월에 시행한 평가에서는 92.9%의 환자에서 호전을 보였다. 삶의 질평가(SF-36)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주사 4개월후에 절반의 환자가 호전기준에 도달하였고 한 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12개월까지 치료효과를 유지하였다(Figure. Cumulative probability of improvement). 2명의 환자가 부작용을 보고하였다. 한 명은 혈액검사에서 경한 hepatic steatosis 소견이 보였고, 다른 한 명은 기침과 배뇨통을 호소하였으나 호전되었다.

고찰

Rituximab 주사 6개월과 12개월후에 대부분의 환자에서 호전을 보였다. Rituximab은 다른 면역억제제가 28-30%의 효과를 보였던 것과 비교하면 호전을 보인 비율이 높았다. 또한, 임상적 호전을 보인 환자들은 신경전도검사에서도 호전을 보였다. Rituximab 사용 후에 경한 부작용이 확인되기도 하였으나 대부분의 환자는 별 문제없이 치료를 완료하였다.

Rituximab은 Anti-nodal-paranodal 항체가 양성인 CIDP환자에서 치료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 항체 유무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환자에서 치료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Anti-nodal-paranodal 항체 양성인 CIDP와 특발성 CIDP 모두 B 세포가 발병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Rituximab은 기존의 면역치료에 불응하는 CIDP환자에서 치료효과와 안전성을 보였다.

(우편번호:03163)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12 대일빌딩 1111호

Copyright@2003 by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Neurophysi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