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접수 안내

초록 접수 마감 : 2010년 3월 19일 (금)

Online 초록접수시 :
  • - Online 초록 접수 site에서 내용 구성에 따라 모든 항목을 채워주시면 됩니다. 초록 내용은 모두 영문으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 - 논문제목/저자 정보 칸에 모든 내용을 영문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교신저자 정보만 국문으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 - 이번 춘계학회부터는 연제 발표와 포스터발표를 구분하지 않으며 접수된 초록 중 하기의 9개 분야 별로 우수한 연구 초록을 사전 심사 선정하여 구연으로 채택된 초록의 경우 30만원의 상금과 상장을 수여합니다. 연제 발표는 각 분야별로 선정된 연구만으로 진행하며 발표된 연구 결과는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지에 일년 내에 게재하여야 합니다. 해당 분야의 연제 발표 대상 우수 초록이 없을 경우 그 분야의 초록 중에서 우수 포스터를 선정하여 20만원의 상금과 상장을 수여합니다. 따라서 모든 초록은 초록 접수 시 연구 분야를 반드시 기입하여 주시고 원저는 500단어 이상 1000단어 이내로 작성하여 주시고 증례는 500 단어 이내로 작성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 뇌졸중/ 경두개 및 경동맥 혈류 초음파
  • 간질/ 수면/ MEG
  • 근신경계질환 및 관련초음파
  • 치매/ 퇴행성질환
  • 이상운동질환
  • 두통/ 통증
  • Neurophthalmology/ 신경계 평형장애
  • 신경계감염/ 대상성 질환
  • 기초연구분야
Offline 초록접수시 : Abstract form download
  • -Offline 초록접수 시 Abstract form file을 다운로드 받으신 후 아래 초록 작성 기준에 의거하여 작성하여
      주십시오.
- 초록 작성 기준

  1. 입력 내용
    성명(성과 이름 띄지 말고 제 1저자만) 소속 (○○대학 혹은 ○○병원) ○○과 주소는 필히 한글로 기입하고 abstract난에는 제목 저자 및 소속을 모두 영문으로 기술한 후 한 줄 띄고 본문내용을 입력한다.
  2. 초록 내용 구성
    본문내용은 영문으로 작성하며 양식은 1) 연구배경 (Background) 2) 연구목적 (Objective) 3) 연구방법 (Method) 4) 연구결과 (Results) 5) 결론(Conclusions) 순으로 기술하여야 하며 단, 증례보고(Case report)인 경우에는 1) 배경 및 의의 (Background & Significance) 2) 증례 (Case) 3) 결론 (Conclusion or Comment) 순서로 한다.
  3. 기타
    문단은 나누지 않으며, subheading을 제외한 전체 단어 수를 원저는 500-1000자로 증례는 500 자 이내로 제한한다. 영문 초록 하단에는 6개 이내의 색인용어(Key Words)를 기재하며 Index Medicus의 주제색인(MESH-Medical Subject Headings)에 있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최근판 의학주제용어집에 적당한 단어가 없는 최근의 개념이나 용어에 대해서는 저자가 사용한 단어를 제시하여도 된다.
    (MESH 검색은 http://www.ncbi.nlm.nih.gov/entrez/meshbrowser.cgi 또는 신경과 학회 홈페이지 http://www.neuro.or.kr 에서 검색할 수 있다.)
  4. 초록의 예

    False Positive in the Short Segment Nerve Conduction Study by Ulnar Nerve Dislocation at the Across-Elbow Segment
    Kil-Dong Hong, Sam-Soon Kim*
    Department of Neurology, Hankook University, Daehan University', Seoul

    Background: The most valuable diagnostic method in patients with ulnar neuropathy at the elbow is nerve conduction study. However, possible technical error induced by ulnar nerve dislocation when the elbow is flexed has been recently suggested.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ulnar nerve dislocation on the short segment nerve conduction study (S-NCS) at the across-elbow segment.
    Methods: Two-hundreds-thirty-four elbows from 117 healthy volunteers (mean age 30.4 yea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to observe whether ulnar nerve dislocate at the elbow when it is flexed and to determine the angle of elbow when the ulnar nerve dislocate. The S-NCS was performed at the across-elbow segment with two different methods: 1) conventional method, stimulation on the skin above ulnar nerve which typically course in the ulnar groove 2) adjusted method stimulation on the skin above ulnar nerve searched by ultrasonography.
    Results: Ulnar nerve dislocation occurred in 13 elbows (5.6%) The mean angle of elbows when the ulnar nerve dislocated was 99.8 degree (range 75 - 135) Of 13 elbows which had dislocated ulnar nerve all elbows had conduction block around medial epicondyle during the S-NCS with conventional method. However the abnormal conduction block was confirmed as normal conduction by adjusted method.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caution is needed during interpretation when 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of ulnar nerve is not evoked or has significant amplitude drop at the across-elbow segment because possible ulnar nerve dislocation may cause significant technical error by volume conduction.